목록데이터베이스 (12)
여행을 개발하다

지난 PL/SQL 입문 포스팅에 이어 Procedure(프로시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Oracle PL/SQL의 Block 종류에는 크게 3가지로, Anonymous Block(익명 블록), Procedure(프로시저), Function(함수)로 나뉜다. 그 중 Procedure의 사전적인 의미는 '순서'인데, PL/SQL에서도 그 의미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프로시저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는 Block'을의미한다. 각각의 프로시저는 고유한 명칭을 가지는데, 이런 점에서도 '익명 블록'의 특징과 구분된다. 그렇다면 프로시저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프로시저(Procedure)란?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이름이 있는 PL/SQL BLOCK이다. - 매개 변수를 받을 수 ..

이제 막 시작한 오라클 PL/SQL에 대한 공부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를 정확하게 CRUD(SELECT, INSERT, UPDATE, DELETE) 하는 것은, 데이터 정합성 등을 유지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 상에서도 위와 같은 CRUD 작업을 단순 반복 한다던가, 명확한 RULE을 가지고 절차에 따라 실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작업들이 있다면 이를 프로그램화 시키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물론, JAVA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for문이나 while문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나 SQL 문법과 상호 연동할 수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그것은 강력한 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니즈에서 시작한 것이 PL/SQL이라고 생각한다. PL/SQL..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번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던 것에 이어,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조에 대해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관계 데이터 모델이란 자료의 저장 형태를 2차원 구조의 표로 표현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전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부터 이야기했었습니다. 너무 급했다면 급했네요. 그래서 이 참에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조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조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릴레이션, 속성, 튜플, 테이블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표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Student라는 이름을 갖고 있고, 세부적으로는 idx, name, phone, major, address, gender등의 여러가지 컬럼(Column)으로..
안녕하세요. 이 게시판에서는 잠시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세계를 떠나, 데이터베이스의 세계로 들어가 보려고 합니다. 물론 프로그래머들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삭제, 갱신하는 작업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Web 기반의 프로그래밍에서는 USER들의 활동 데이터들을 축적하고 관리하는 것이 곧 경쟁력으로 직결되기 때문이에요. 이러한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에 대한 필요성도 점점 증가했습니다. 저는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수정, 관리하는 법에 대해 포스팅을 진행할 것이며,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SQL을 중심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사용될 관리 시스템은 mySQL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