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OS (5)
여행을 개발하다

Node.js의 내장모듈 중 'os'는 운영체제 및 관련 유틸리티에 대한 메서드와 프로퍼티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 모듈을 사용하면 OS의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버전, 아키텍처 등에 관한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1. os 모듈에 대한 접근 require 함수를 통해 모듈을 import 한다. const os = require('os'); 2. 관련 메서드 ① os.version os의 커널 버전을 가져온다. console.log('os.version==>' + os.version); // Windows 10 Pro ② os.arch() Node.js가 컴파일된 os의 CPU 아키텍처 정보를 리턴한다. console.log('os.arch()==>' + os.arch()); // os.ar..

오늘은 리눅스의 chage 명령어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chage 명령어? -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기 정보를 변경 및 설정하는 명령어이다(쉽게 말해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 관리). - 시스템에게 로그인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변경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 시스템 관리 명령어이다 보니, root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사용 가능하다. 주요 옵션 옵션 내용 -l (소문자 l) 지정한 계정의 정보를 보여준다. -d 최근 패스워드를 바꾼 날을 수정한다. 날짜로 지정할 경우에는 'YYYY-MM-DD' 형식을 따르고, 숫자로 지정할 경우 1970년 1월 1일부터의 경과일 수를 지정해 준다. -E 계정의 만료일을 설정한다. 날짜로 지정할 경우에는 'YYYY-MM-DD' 형식을 따르고, 숫자로 지정할 경우 1970년..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사용자 관리, 그중에서도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useradd (adduser) 명령어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사용자 추가 권한은 root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허용되며, 일반 사용자는 해당 작업에 대한 권한이 없다. 따라서, 아래의 예제는 모두 root 사용자로 진행할 것이며, 리눅스는 ubuntu를 사용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root 계정으로 바로 접속하여 사용자 관리를 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고 조심스러운(?) 분위기라고 한다. 아무래도 보안상의 문제인 것 같다. 이 포스팅은 단순 설명용이므로, 실제로 활용할 때는 일반 사용자 접속 후 sudo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식을 적극 권장한다. 먼저, useradd (adduser) 명령어의 주요 옵션들을 살펴본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의 압축 파일 관련 명령어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파일을 하나로 묶는 명령어인 tar와 연계해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전 포스팅인 'tar 명령어'와 함께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아래 링크 참고. https://tragramming.tistory.com/83 tar 명령어의 여러 옵션 중에는 j, J, z, Z과 같은 옵션이 있었다. 이는 주로 여러 개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의 파일을 묶음과 동시 특정 압축형식으로 압축할 때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이 글의 독자 대부분이 윈도 운영체제에서 '알집'과 같은 압축 유틸리티를 사용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zip, apk, rar, 7z와 같이 여러 확장자들(압축형식)도 봤을 것이다. 리눅스에서도 여러종류의 압..

오늘은 리눅스의 tar 명령어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한다. tar 명령어? - Tape ARchive(tar)의 약자로 여러 파일이나 디렉터리들을 하나의 새로운 파일로 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사용하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 기존 파일을 그대로 남겨둔다. Window에서의 작업과 비교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1. 새 폴더를 만든다. 2. 여러 개의 파일을 새 폴더에 넣는다. (새 폴더에 다른 폴더를 넣을 수도 있다.) 이 2개의 작업을 한 번에 진행하는 명령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단, 리눅스는 폴더(디렉터리)가 아닌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tar 명령어의 옵션 옵션 설명 -c 지정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로 묶어 새로운 tar 파일을 생성한다. -x 생성된..